2017년 개봉한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은 김영하 작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심리 스릴러로, ‘기억’이라는 테마를 중심에 두고 알츠하이머에 걸린 전직 살인범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단순한 범죄 스릴러를 넘어 인간 심리, 도덕성, 기억의 신뢰성이라는 복합적인 주제를 담아 한국 스릴러 장르에 신선한 충격을 안긴 대표작입니다.
1. 기억과 진실 사이, 혼란 속 줄거리 요약
주인공 병수(설경구)는 과거 연쇄살인을 저지른 범죄자였지만, 현재는 알츠하이머로 인해 기억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일상을 조용히 보내던 중, 딸 은희(김설현)의 남자친구 민태주(김남길)를 만나고 그에게서 ‘살인의 냄새’를 느끼기 시작하죠.
문제는 병수의 기억이 완전히 신뢰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기억의 파편은 병수의 일기, 독백, CCTV 영상 등 여러 방식으로 전달되지만, 관객은 병수의 시점을 통해 이야기되기에, 진짜 현실과 왜곡된 기억이 뒤섞여 혼란을 느끼게 됩니다.
영화는 중반 이후 병수가 태주를 쫓고, 딸을 지키기 위해 행동하면서 점점 더 불신과 긴장감을 키워갑니다. 관객은 끝까지 의문을 품게 됩니다. “병수의 말이 맞는 걸까?” “정말 태주가 살인자인 걸까?” “병수가 착각하고 있는 건 아닐까?”
2. 인물 분석: 복잡한 심리의 교차
병수(설경구)
죄책감, 모성애, 기억 상실이라는 복잡한 요소가 섞인 인물입니다. 그는 악인과 피해자, 아버지와 살인자의 이중적 정체성을 가지며, 설경구의 내면 연기는 관객에게 공감과 불신을 동시에 유도합니다.
민태주(김남길)
젠틀하고 친절해 보이지만, 어딘가 이질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인물입니다. 병수의 시선에서 점점 진짜 살인자처럼 느껴지게 연출되며, 과연 진짜 악인은 누구인가? 라는 주제를 던지는 핵심 인물입니다.
은희(김설현)
보호받아야 할 존재처럼 보이지만, 동시에 병수를 제어하는 감시자로도 해석 가능합니다. 영화 후반부로 갈수록 병수와의 관계가 더 복잡하게 느껴집니다.
3. 결말 해석: 열린 구조 속 진실
영화 후반, 관객은 충격적인 사실을 마주합니다. 민태주는 실제 살인자이며, 병수의 의심은 틀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병수의 기억은 부분적으로 왜곡되어 있었고, 과거의 살인 역시 정당방위가 아니었을 가능성이 암시됩니다.
병수는 결국 자신의 기억이 틀렸음을 받아들이면서도, 딸을 지키기 위한 행동에는 확신을 갖고 움직입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병수는 자신조차 자신을 믿지 못하지만, 그럼에도 누군가를 지키고자 했던 인간적인 고백을 남기며 영화는 끝이 납니다.
그의 마지막 대사 “기억이 사라져도, 죄는 남는다.”는 이 영화 전체의 테마를 상징적으로 요약합니다.
4. 한국형 스릴러로서의 가치
《살인자의 기억법》은 단순한 살인 사건을 다루지 않습니다. 기억이라는 비물질적인 주제를 시각적으로 구성했고, 흔들리는 현실과 불완전한 주인공을 통해 관객을 감정적으로 몰입하게 만들며, 연출, 음악, 색감, 대사까지 치밀하게 설계된 스릴러 구조를 보여줍니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 노년, 가족, 책임, 죄의식이라는 정서를 함께 묘사하면서, 단순 장르물 그 이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미덕을 갖췄습니다.
5. 결론: 다시 봐도 뛰어난 심리 스릴러
《살인자의 기억법》은 기억과 심리를 소재로 한 보기 드문 스릴러로, 긴장감과 함께 깊은 여운을 남기는 작품입니다.
특히 설경구의 명연기와 “우리는 얼마나 기억을 믿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단순한 영화 감상을 넘어, 우리 자신의 기억과 판단을 돌아보게 만듭니다.
2025년 지금, 이 영화를 다시 꺼내보는 건 또 다른 의미에서 ‘기억을 되살리는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