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징어게임 아직 안봤어? 이리와서 1부터 같이 보자 "오징어게임1" 리뷰

by 꽃길♡ 2025. 4. 6.
반응형

오징어게임시즌1 포스터

《오징어 게임 시즌1》 줄거리, 리뷰, 결말


1. 기본 정보

  • 제목: 오징어 게임 (Squid Game)
  • 감독/각본: 황동혁
  • 제작: 넷플릭스 (2021)
  • 총 에피소드: 9부작
  • 장르: 서바이벌, 스릴러, 드라마
  • 주요 출연: 이정재, 박해수, 오영수, 정호연, 위하준 등

2. 줄거리 요약

주인공 ‘성기훈’(이정재)은 빚에 쫓기며 인생의 바닥을 전전하는 40대 남성입니다.
어느 날 지하철에서 의문의 남자(공유)에게 명함을 받고, 거액의 상금이 걸린 게임에 참가하게 되죠.

456명의 참가자가 초대된 이 게임의 목표는 단순합니다.
총 6가지 어린 시절의 놀이를 통과하면 456억 원의 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첫 번째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에서 탈락자가 즉시 사망한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게임의 진실과 참가자들의 절박한 사연이 하나씩 밝혀지게 됩니다.


3. 게임 구성 (에피소드 요약)

  1.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움직이면 사망
  2. 설탕 뽑기 (달고나 게임) – 모양 부수면 사망
  3. 줄다리기 – 떨어지면 사망
  4. 구슬치기 – 짝을 고른 후, 한 명만 생존
  5. 징검다리 건너기 – 강화유리와 일반유리, 밟으면 깨짐
  6. 오징어 게임 – 최종 생존자 결정

각 게임은 단순한 놀이이지만, 생존과 죽음이 걸린 극한의 심리전으로 바뀌며,
사람들은 점점 이기기 위해 잔인해지고, 배신하거나 희생하게 됩니다.


4. 리뷰 포인트: 왜 전 세계가 열광했나?

1. 한국 놀이를 통한 글로벌 콘텐츠화

  • 오징어 게임, 무궁화꽃, 달고나 등
    한국 문화 요소가 세계적으로 신선하게 다가옴
  • 넷플릭스를 통해 로컬 콘텐츠가 글로벌 히트 가능성 입증

2. 사회 비판 + 인간 심리의 극한

  • 참가자들은 모두 경제적으로 끝에 몰린 사람들
  • 게임은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극한 상황에서 인간 본성이 드러나는 무대
  • 도덕, 우정, 배려보다 이익과 생존 본능이 앞서게 되는 과정이 충격적

3. 연출, 미술, 음악의 완성도

  • 파스텔톤 미장센 + 기하학적 구조 = 동화 같지만 공포스러운 분위기
  • 게임장, 복도, 가면 캐릭터, 번호제 등 독창적인 시각 디자인
  • ‘Fly Me to the Moon’ 같은 음악도 아이러니한 공포 연출 효과

5. 결말 요약 & 해석 (스포 주의)

최종 생존자는 성기훈(456번).
그는 마지막 오징어 게임에서 절친 ‘조상우(218번)’를 이기고 살아남지만,
상금을 받아도 죄책감과 상실감에 빠져 돈을 쓰지 못하고 방황합니다.

그러던 중, 자신에게 게임 참가 명함을 준 할아버지(001번, 오일남)가
사실은 게임의 설계자였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는 지루한 삶에서 재미를 찾기 위해 이 모든 ‘극한 게임’을 만들었고,
성기훈에게 “너라면 날 이해할 수 있을 줄 알았다”고 말합니다.

그 말을 들은 기훈은 결심하죠.
비행기를 타기 직전, 다시 돌아서면서,
이 시스템을 멈추기 위한 싸움을 예고하며 시즌1은 끝이 납니다.


6. 결론: 단순한 게임, 그 안의 사회

《오징어 게임》은 단순히 “사람들이 목숨 걸고 게임한다”는 스토리가 아닙니다.
그 안에는 극단적 자본주의의 맹점, 계층 구조, 비인간화된 경쟁,
그리고 우리가 사람을 어떻게 대하는가에 대한 질문이 숨어 있죠.

  • 누가 살아남아야 하는가?
  • 인간성은 어디까지 유지될 수 있을까?
  • 선택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세상은 얼마나 잔인한가?

이런 메시지를 던진 덕분에
《오징어 게임》은 단순한 히트작을 넘어
세계 문화 콘텐츠의 흐름을 바꾼 기념비적 작품이 되었습니다.

반응형